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 과정 · 대한민국 대표팀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쉐룽룽 ·
주경기장
베이징국가체육장 ·
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개막 선언자
시진핑 ·
성화 점화자
리두안
파일: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로고_White.svg一起向未来
Together For a Shared Future
함께하는 미래로
||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제13회 동계패럴림픽 경기대회
第十三届冬季残疾人奥林匹克运动会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경기대회
XIII Paralympic Winter Games
파일: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로고.svg
대회 기간 2022년 3월 4일 ~ 2022년 3월 13일
개최국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
슬로건 一起向未来
Together For a Shared Future
(함께하는 미래로)
공식 주제가 雪花(설화)[1]
마스코트 파일: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마스코트 쉐룽룽.png | 쉐룽룽
참가국 46개국
참가 선수 564명
경기 종목 6개 종목 - 78개 세부 종목
개막 선언자 시진핑
중국 주석
선수 선서 장멍치우 · 천첸신
파라 알파인 스키 · 휠체어 컬링
심판 선서 장리헝
파라 아이스하키 심판
코치 선서 위에칭상
휠체어 컬링 코치
성화 점화 리두안
주경기장 베이징국가체육장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오륜기.svg[2]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
2. 대회 상징
2.1. 엠블럼
2.2. 마스코트
3. 참가국
4.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
5. 대회 진행
5.1. 개막식
5.2. 폐막식
6. 메달 집계
7. 방송
8. 기타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에서 2022년 3월 4일부터 3월 13일까지 열린 제13회 동계패럴림픽이다. 이로써 베이징은 역사상 처음으로 동하계 패럴림픽을 모두 개최하는 도시가 되었다.


2. 대회 상징[편집]



2.1. 엠블럼[편집]


엠블럼은 간체자 (날 비)를 이미지화한 것으로 2017년 12월 15일에 선정되었다.


2.2. 마스코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빙둔둔과 쉐룽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마스코트 쉐룽룽.png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공식 홍보영상
마스코트명은 쉐룽룽(雪容融)으로, 2019년 9월 17일 베이징 서우강 아이스하키 경기장(首钢冰上曲棍球竞技场)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패럴림픽 마스코트 공개식에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마스코트인 빙둔둔과 함께 공개되었다.


3. 참가국[편집]



4.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대한민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대회 진행[편집]



5.1. 개막식[편집]


풀영상 다시보기(네이버)
[ KBS ]

[1]

[1] 2022년 3월 울진 산불로 KBS 1TV 중계가 중간에 중단되었다. 이후 KBS my K에서 방송된 버전을 30분 분량으로 하이라이트 편집한 영상을 3월 5일 중계 이전에 방송하였다. 이 영상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 MBC ]


[ SBS ]


[ 대한장애인체육회 ]


국내 방송사 중계진
파일:KBS 1TV 로고.svg (LIVE)이재후, 이정민[3], 김권일[4]
파일:MBC 로고.svg (Delay)이휘준, 이선영, 조창옥[5]
파일:SBS 로고.svg (Delay)정석문, 주시은, 홍석만

오영우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이 참석한다. KBS 1TV만 생중계했고, MBCSBS는 당일 저녁 녹화방송으로 편성했다. 하지만 같은 날 발생한 2022년 3월 울진 산불 여파로 KBS가 뉴스특보 체제로 전환되면서 저녁 10시에 KBS my K로 중계가 전환[6]되었고, MBC와 SBS 역시 뉴스특보로 편성 시각이 변동되었다.

앤드류 파슨스 IPC 위원장이 연설 중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비판하는 발언을 했는데 중국 CCTV에서는 그 부분을 통역하지 않았다고 한다. (#)

5.2. 폐막식[편집]


풀영상 다시보기(네이버)
[ KBS ]


[ MBC ]


[ 대한장애인체육회 ]


국내 방송사 중계진
파일:MBC 로고.svg (LIVE)김나진, 김초롱, 이장일[7]
파일:KBS 1TV 로고.svg (Delay)이영호, 김권일[8]

MBC가 단독으로 생중계하며, KBS 1TV는 녹화 중계로 23시 35분부터 방송했다. SBS는 폐막식을 중계하지 않았다.

1988 서울 패럴림픽부터 이어지던 황연대 성취상이 도쿄에 이어서 시상을 하지 않았는데 도쿄는 그래도 아임파서블상으로 대체되었지만 이번에는 그런 것조차 하지 않았다.

패럴림픽 폐막식에서 항상 나오던 문화 공연은 나오지 않았고, 차기 개최지 홍보도 영상으로만 나오고 퍼포먼스도 없었다. 또한 폐막식 총 시간이 1시간도 채 되지 않은 채로 끝났다.[9]

이번에도 앤드류 파슨스 IPC 회장의 발언을 '평화'를 거론한 일부 내용이 중국어로 통역되지 않았다. (#)

6. 메달 집계[편집]


2022 베이징 패럴림픽 메달 집계
최종 집계
순위국가메달합계
1
파일:중국 국기.svg

18202361
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110829
3
파일:캐나다 국기.svg

861125
4
파일:프랑스 국기.svg

73212
5
파일:미국 국기.svg

611320
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55313
7
파일:독일 국기.svg

48719
8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4217
9
파일:일본 국기.svg

4127
10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3036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327
12
파일:스웨덴 국기.svg

2237
13
파일:핀란드 국기.svg

2204
14
파일:영국 국기.svg

1146
1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124
160314
170011
0011
0011

7. 방송[편집]


3사 모두 대한민국 선수가 출전한 주요 경기 위주로 방송하고 대한장애인체육회에서도 카카오TV네이버TV를 통해 중계한다.




8. 기타[편집]



파일:9c3ccd681cf94c619a7dcd64a5e62fd4.jpg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로고 (왼쪽은 원래 로고, 오른쪽은 수정된 로고)







9. 관련 문서[편집]



[1] 이전에 나온 얼음과 눈의 춤은 이디아 멘젤의 Let It Go, 효린내겐 너니까라는 곡을 표절한 것이 아니냐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후 논란이 커지자 설화라는 곡으로 바꾼 듯하다.[2] IOC 공식 사이트[3] 2014 인천 장애인 아시안 게임 조정 은메달리스트,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노르딕스키 국가대표.[4]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정책연구실 실장.[5] 대한장애인체육회 훈련진흥센터장.[6] 여느 올림픽과 패럴림픽과 마찬가지로 KBS my K에는 중계를 위한 여러 개의 임시 채널이 생성되었는데, 패럴림픽의 특성에 맞게 수어 화면을 대폭 키운 버전이 1번 채널에 편성되었다. 그 외에도 동시통역 없이 원어 그대로 송출되는 버전 역시 함께 중계되었다.[7] 대한장애인체육회 훈련진흥센터 소속.[8]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정책연구실 실장.[9] 이는 아마도 비교적 올림픽에 비해 관심도가 떨어지는 패럴림픽 특성 상 연출 비용을 최대한 줄인 것으로 추정된다.[10] IPC의 상징인 아지토스(Agitos) 엠블럼 수정(빨강, 파랑, 초록 3색은 유지) 반영, 패럴림픽 로고에만 붙던 'Paralympic Games' 표기 삭제, 동일한 올림픽과 패럴림픽 로고 등.[11]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문서에 나온 올림픽과 패럴림픽 로고는 다르지만, LA 올림픽은 올림픽 사상 최초로 변화하는, 정해지지 않은 디자인을 택했다. 'LA28'이라는 영단어에서 A 부분이 자유롭게 변화하는 디자인이라 사실상 올림픽과 패럴림픽 로고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